AI
-
"내년 국내 AI 스피커 800만대 보급…전체 가구 40% 보유"NEWS SUMMARY 2018. 12. 23. 14:27
국내 인공지능(AI) 스피커 보급에 점점 속도가 붙으며 내년에는 전체 가구 10곳 중 4곳이 보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23일 KT그룹의 디지털 미디어렙 나스미디어가 펴낸 '2019 디지털 미디어 & 마케팅 전망'에 따르면 내년도 국내 AI 스피커 보급 대수는 8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특히 AI 스피커 활용 분야 중 어린이 콘텐츠 및 음성 쇼핑 서비스에서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나스미디어는 예측했다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181221133400017
-
차세대 자율적인 AI 머신 구현하는 ‘젯슨 AGX 자비에 모듈’ 출시NEWS SUMMARY 2018. 12. 13. 20:21
엔비디아 젯슨 AGX 자비에 플랫폼은 젯슨 TX2 및 TX1 제품군에 새롭게 추가된 젯슨 AGX 자비에 모듈을 통해 이러한 머신들을 구동하는 방대한 인공지능(AI) 기능이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게 됐다또한, 기업들은 젯슨 AGX 자비에 개발자 키트로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차세대 로봇과 오토노머스 머신을 일상생활에도 활용할 수 있다또한 젯슨 AGX 자비에 모듈은 수 많은 AI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는 업계 최고 수준의 엔비디아 AI 플랫폼을 활용한다출처: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3018&fbclid=IwAR2y5Wxp0t6RURyLpWEhmFX9MSXxl4IkliNF5oiaB0jYDz9LSBCS9OXC-M0
-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위한 최신 AI 서비스 및 개발 툴 대거 발표NEWS SUMMARY 2018. 12. 13. 07:30
또한 파이썬 SDK(Python SDK)를 통해 어느 파이썬 환경에서나 개발자가 선호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로 애저 머신러닝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컨테이너 모더나이제이션 또는 서버리스 기술을 활용한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native) 솔루션 구축 등 애저를 사용하는 개발자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지원을 받게 된다특히 타 개발자들과의 협업 및 커뮤니티가 핵심을 이룰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을 개방하고, 협업을 위한 다양한 이니셔티브에 투자한다고 밝혔다, 아래는 개발자간의 협업을 도모하는 오픈소스 생태계 확대와 함께 공개된 내용이다출처: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2976
-
AI, 자연어처리(NLP) 등에 활용 위해 10억 어절 '국어 말뭉치' 내년 구축·보급된다NEWS SUMMARY 2018. 12. 12. 07:03
10년 전 구축한 세종말뭉치 2억 어절에 신규로 8억 어절을 구축, 모두 10억 어절의 말뭉치를 인공지능(AI)과 언어처리 산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게 된다정부도 자연어처리 등 AI의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국어 자료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내년도 국립국어원 예산 중 연간 사업비 140억원 외에 말뭉치 구축만을 위한 예산 204억원을 별도로 책정했으며, AI 기술 개발을 위해 올해 3100만 어절로 이뤄진 말뭉치’를 새롭게 구축했으며, 내년까지 10억 어절을 말뭉치로 구축하고 이를 관련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는 기관이나 기업 등에 제공한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각국은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사업을 추진, 일본의 경우 150억 어절, 중국은 300~800억 어절, 미국은 300억 어절을 구축, AI 개발에..
-
美·中은 정부 주도 AI기술 싹쓸이…韓, 헛돈 쓰고 시간 낭비NEWS SUMMARY 2018. 10. 30. 06:33
무료 공개형 머신러닝 소프트웨어 `SMILE 프로젝트`도 인공지능이 대중에게 주목받기 전인 2014년 시작됐지만 시간과 예산만 낭비하고 허무하게 종료됐다구글 홈 등 인공지능 스피커에 적용되는 음성을 인식하고 분석하는 자연어 처리 기술 연구에도 정부가 예산 150억원을 쏟아부었지만 쓸 수 없는 결과물만 만들고 종료했다박진호 숭실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정부가 인공지능 기술 개발의 방향성도 수립하지 못하고 주먹구구식으로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8&no=672468
-
지자체 최초 인공지능 면접시스템 도입한 ‘광주권 일자리박람회’NEWS SUMMARY 2018. 10. 27. 23:13
광주광역시(시장 이용섭 이하, 광주시)가 지자체 최초로 인공지능 면접시스템을 도입해 시행한 ‘광주권 일자리박람회’에 구직자 6000여 명이 몰리며 성황리에 마무리됐다특히 이번 박람회는 기업 정보 제공, 취업설명회, 현장 면접 등 기존 방식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 인공지능 면접시스템을 처음으로 적용해 많은 구인, 구직자의 관심을 끌었다광주시는 박람회에 앞서 지난 6일까지 온라인 AI 면접 신청을 접수받았으며, 261명의 구직자가 온라인을 통해 사전 인공지능 면접에 참여했다출처 :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2680
-
"나도 AI서비스 개발자"…잇단 오픈플랫폼에 AI생태계 확장될까?NEWS SUMMARY 2018. 10. 27. 08:16
17일 SK텔레콤은 기업과 개인 개발자 등 누구라도 AI '누구'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는 웹사이트 '누구 디벨로퍼스'를 오는 24일 오픈한다고 밝혔다카카오는 누구나 카카오i 환경에서 개발할 수 있도록 '카카오i 오픈빌더'의 오픈 플랫폼화를 준비하고 있다플랫폼이 오픈되면 서비스가 빠른 시간에 늘어날 수 있고 AI가 일상 생활에 들어가는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017_0000445585&cID=13001&pID=13000
-
마인즈랩, AI 블랙박스 문제를 일부 해결한 ‘설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으로NEWS SUMMARY 2018. 10. 24. 06:41
마인즈랩(대표 유태준)이 텍스트를 주제별로 자동 분류하고, 그 분류 결과에 대한 이유까지 제시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딥러닝 문서분류기 XDC를 개발하고 본격 상용화에 나선다XDC는 분류 카테고리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분량과 관계없이 장문 텍스트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텍스트 분석이 필요한 영역이라면 어디에서나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유태준 대표는 “이번에 마인즈랩이 자체 개발한 XDC는 분류 결과에 대해 실제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개수와 분량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기존 AI 분류기의 한계를 혁신적으로 극복했다”고 평했다.출처 : http://www.ai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2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