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
데이터 과학의 5가지 PMACHINE LEARNING 2019. 5. 31. 07:05
이 글은 WorDS 에 올라온 글을 번역한 것입니다. 저자에게 번역에 대한 허가를 받지 않았기에, 언제든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오역이 있을 수 있으니, 가능하면 원글을 읽는 것이 좋습니다. 데이터 과학은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하는 것에 관한 것입니다. WorDS 센터에서는 데이터 과학을 사람, 프로세스, 계산 및 빅 데이터 플랫폼, 특정 목적 및 프로그래밍 가능성을 결합한 다방면의 기술로 정의합니다. 이러한 간행물로 이어지는 데이터 제품의 간행물 및 출처는 데이터 과학에서도 중요합니다. 사람(People) : 데이터 과학자는 과학 또는 비즈니스 영역 지식을 비롯하여 다양한 주제에 대한 기술을 보유한 사람들로 종종 간주됩니다. 통계, 기계 학습 및 수학 지식을 사용한 분석; 데이터 관리, 프로그래밍 및 ..
-
'세계 최초 5G'에도…소비자 반응 싸늘한 이유는?NEWS SUMMARY 2018. 12. 26. 07:49
지금보다 스무 배 이상 빠른 '속도'를 빼고는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라 소비자들의 반응도 싸늘합니다빨라지는 속도에 따라 요금도 올라가고 단말기 가격도 올라가지만, 정작 차별화한 서비스가 없는 겁니다첨단 기술 플랫폼만 있을 뿐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는 서비스가 없어 소비자 외면은 물론 관련 산업 발전도 요원하다는 우려가 나옵니다출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071609
-
"나도 AI서비스 개발자"…잇단 오픈플랫폼에 AI생태계 확장될까?NEWS SUMMARY 2018. 10. 27. 08:16
17일 SK텔레콤은 기업과 개인 개발자 등 누구라도 AI '누구' 서비스를 간편하게 개발할 수 있는 웹사이트 '누구 디벨로퍼스'를 오는 24일 오픈한다고 밝혔다카카오는 누구나 카카오i 환경에서 개발할 수 있도록 '카카오i 오픈빌더'의 오픈 플랫폼화를 준비하고 있다플랫폼이 오픈되면 서비스가 빠른 시간에 늘어날 수 있고 AI가 일상 생활에 들어가는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밝혔다출처 :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1017_0000445585&cID=13001&pID=13000
-
[CES 2018] 삼성전자, 자율주행 솔루션 '드라이브라인'… “새로운 주행 경험 제공”NEWS SUMMARY 2018. 1. 9. 10:00
* 삼성전자가 9일( 미국 시간) CES 2018에서 자율 주행 솔루션 ' 드라이브라인' 을 공개했다.* [ 글로벌 이코노믹 유 호 승 기자] 삼성전자가 9일( 현지시간) 미국 라스 베이 거스에서 열리는 CES 2018에서 신개념 자율 주행 솔루션 ‘ 드라이브라인’ 플랫폼을 공개했다.* 드라이브라인은 삼성전자의 최신 인공지능 (AI)· 알고리즘 등의 기술과 부품이 적용됐다.원문보기 : http://www.egreennews.com/view.php?ud=2018010809270686100af48a60a_1&ssk=2017011301560109486_1
-
'CES 2018' 인공지능(AI) 플랫폼 격전장으로NEWS SUMMARY 2018. 1. 3. 07:03
* 기술 시연에서 일상 속 활용 초점... 삼성 ·LG 자체 플랫폼 홍보 열 올려 9일( 현지시간) 미국 라스 베이 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전자 ·IT 전시회 'CES 2018'에서 인공지능 (AI) 플랫폼 기술 경쟁이 펼쳐진다.* 특히 올해는 기술 시연 수준의 제품을 넘어 일상에서 사용하는 제품에 AI를 접목한 제품이 대거 등장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자체 인공지능 플랫폼 ' 빅 스비 '를 고도화하고, 스마트 폰과 가전 등 다양한 기기로 적용 영역을 확대한다.원문보기 : http://www.etnews.com/20180102000212
-
[2017 ICT 결산 ①] 상용 인공지능 서비스 잇단 출시...ICT 기업간 협업 주목NEWS SUMMARY 2017. 12. 29. 06:46
* 특히 올해는 음성인식 관련 인공지능 서비스들이 대거 출시됐다.* 다만 인공지능 관련 기술은 아직 초기 단계로, 주요 서비스는 음악 검색 및 재생, 검색 정보 제공, 쇼핑 등에 머무르는 수준이다.* 기업 간의 협업이 지금보다 더욱 활성화 되면 제공되는 타 업체와의 서비스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기도 한다.원문보기 : http://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45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