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
씨게이트, 영상 감시 시스템에 최적화된 '스카이호크 AI' 공개NEWS SUMMARY 2017. 11. 1. 07:08
* 씨게이트 테크놀로지가 인공지능(AI) 기반의 영상 감시 솔루션을 위해 제작된 최초의 전용 드라이브 ‘스카이호크(SkyHawk) AI’를 30일 공개했다* ‘스카이호크 AI’는 지난 10년 간 영상 감시에 최적화된 전용 스토리지를 제공해온 씨게이트의 노하우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씨게이트는 지난 10년 간 영상 감시용 스토리지 시장을 선도하며 엑사바이트(Exabyte) 기준 5배가 늘어난 출하량을 기록한 바 있다”며 “스마트 솔루션인 ‘스카이호크 AI’로 고객과 파트너사가 차세대 딥 러닝 및 영상 분석 기술을 제품 설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돕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원문보기 : http://www.datane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6273
-
서울대 연구팀, 영화 질의응답 인공지능 챌린지 '우승'NEWS SUMMARY 2017. 10. 31. 21:36
* [베리타스알파=나동욱 기자] 서울대는 공대 컴퓨터공학부 김건희 교수 연구팀이 2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열린 '2017 국제컴퓨터비전학회'의 워크샵인 '영화 질의응답 인공지능 챌린지'(이하 LSMDC)에서 우승했다고 31일 밝혔다* 대회는 처음 보는 영화영상과 함께 자연어 질문이 주어지면, 인공지능이 스스로 영상과 질문을 이해해 답을 구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서울대 공대 컴퓨터공학부 김건희 교수 연구팀이 2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열린 '2017 국제컴퓨터비전학회'의 워크샵인 '영화 질의응답 인공지능 챌린지'(이하 LSMDC)에서 우승했다 원문보기 :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99554
-
'리벤지포르노 차단, 2019년부터 가능하다?'NEWS SUMMARY 2017. 10. 31. 01:54
* 인공지능 개발과 더불어 정부는 “영상을 편집 또는 변형해 인터넷이나 SNS 등을 통해 유통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DNA 필터링 기술을 2019년부터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19년부터 DNA 필터링을 적용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이미 있는 기술이다* DNA 필터링 업계 관계자는 “기술적 문제가 있다는 것은 오해”라며 “영상물을 DNA 필터링 한다는 건 저작권물이나 개인유출물이나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정부가 지금 당장 영상을 차단하고 피해자들을 구제할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원문보기 :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9510
-
심층 고찰 : 정말로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NEWS SUMMARY 2017. 10. 30. 23:54
* AI를 구성하는 요건에 대해 보고스트는 "기계는 자율 의지 및 의외성은 물론이고 지각이 가능할 때, 또는 최소한 전문성을 갖고 작동하기에 충분할 만큼의 자기 인식이 있을 때 AI라고 할 수 있다 * 인공 지능이라고 주장하는 시스템을 보면 대부분의 경우 지각, 자기 인식, 자율 의지가 없고 심지어 의외성도 없다 * 첨단 로봇 기술은 아직은 AI가 아니다 가장 진보된 로봇 소프트웨어도 기술적으로 AI라고 간주할 수는 없지만 미래 AI의 청사진은 될 수 있다 * 예를 들어 다 빈치 시(da Vinci Si) 로봇 시스템은 폐 수술을 보조하는 데 사용되지만, AI의 정의에는 부합하지 않는다 * 인공 지능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는 자율 로봇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하는 기술이다원문보기: http://www.i..
-
문자인증 보안기술 '캡차' 뚫는 인공지능 개발NEWS SUMMARY 2017. 10. 28. 12:05
*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인터넷에서 컴퓨터 사용자가 인간인지, 컴퓨터 프로그램인지를 구별하는 문자인증 보안기술인 캡차(captcha)를 간단히 뚫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됐다 * 캡차는 사람은 해독할 수 있지만, 컴퓨터는 식별하기 어려운 특징을 응용한 인증 절차다 * 난잡한 배경 위에 구불구불하게 일부러 찌그러뜨린 문자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람은 해독할 수 있지만, 컴퓨터는 식별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이 AI를 이용해 문자인증을 푸는 시험을 해본 결과 성공률이 66%에 달했다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10/27/0200000000AKR2017102712580000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