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악성코드
-
KISA, 배드래빗 악성코드 감염 주의 당부NEWS SUMMARY 2017. 10. 26. 19:09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배드래빗 악성코드에 의한 윈도우 계열 PC·서버 악성코드 감염 사례가 확산되고 있다며 주의가 요구된다고 10월26일 밝혔다 * 배드래빗 악성코드는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등 유럽을 중심으로 유포된 랜섬웨어다 * 하지만 SMB에 설정한 암호가 취약한 경우 공격에 쉽게 노출될 수 있어 대·소문자, 숫자, 특수 기호 등을 포함한 안전한 비밀번호 사용 등 주의가 필요하다원문보기 : http://www.bloter.net/archives/293233
-
IoT 기기 사용하는 아시아태평양 기업 78%, 사이버공격 경험NEWS SUMMARY 2017. 10. 25. 07:12
* 뉴스타(Neustar)의 글로벌 디도스 공격 및 사이버 보안 통찰력 보고서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 기기 사용에 적극적인 아시아태평양 기업의 78%가 사이버공격을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 아시아태평양 기업 중 절반 이상(51%)이 디도스 공격 후 바이러스를 발견했다 * 전 세계적으로 52%의 기업이 바이러스를 신고했으며 35%는 디도스 공격과 관련된 악성코드를 보고했다원문보기 : http://www.ciokorea.com/news/35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