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피부암 '악성 흑색종' AI로 조기 진단…”정확도 90%”NEWS SUMMARY 2018. 4. 19. 07:03
* 서울 아산 병원 피부과 장성은 교수 팀은 딥 러닝 (deep learning) 기반 AI 모델에 악성 흑색종과 기저 세포 암 등 12개 종류의 피부 종양 사진 2만 여장을 학습시킨 뒤 추가로 2천 500 여 장의 사진을 판독시킨 결과 흑색종의 양성 및 악성 여부를 90% 정도로 정확하게 감별했다고 17일 밝혔다.* 진단하는 민감도와 질병이 없을 때 없다고 진단하는 특이도를 사용한다.* AI 모델로 악성 흑색종을 진단한 결과 민감도는 91%, 특이 도는 90.4% 였다.원문보기 : http://www.sciencetimes.co.kr/?news=%ED%94%BC%EB%B6%80%EC%95%94-%EC%95%85%EC%84%B1-%ED%9D%91%EC%83%89%EC%A2%85-ai%EB%A1%9C-%E..
-
서울시, 인공지능 ·블록체인 관련 기술개발에 26억 지원NEWS SUMMARY 2018. 4. 17. 07:03
* 2017년 처음으로 시작된 서울혁신 챌린지는 300 일의 기간 동안 ‘ 아이디어 및 팀 빌딩- 예선 평가- 시제품 제작- 시민평가 단이 참여한 결선 평가’ 의 과정을 거쳐 최종 16개 팀을 선발하여, 최대 2억 원의 R&D 자금을 지원한 바 있다.* 결선에서 입상하지 못해도 ‘ 서울혁신 챌린지’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16개의 과제들에 대해서는 R&D 지원금 외에 인공지능 선도 기업 개발 플랫폼 연계 및 기술지원, 마케팅, 투자 지원 등 SBA 지원사업 연계 등의 지속 관리가 지원된다.* 임학 목 서울산업 진흥원 기업성장본부장은 “ 서울혁신 챌린지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 이라면서 “ 전년 도의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는 글로벌 선도 기업들 과의 파트너십..
-
'인터스텔라 꿈꾸는 AI'…우주 보며 새 행성 찾는다NEWS SUMMARY 2018. 2. 1. 07:10
* 인공지능 (AI) 이 과거 인간의 인식 바깥에 있던 먼 우주의 행성을 찾아내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천체 물리학자들은 우주 망원경이 찍은 무수한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손이나 소프트웨어로 분석해 행성을 찾지만, 이는 ' 캄캄한 밤에 바늘 찾기' 로 비유될 정도로 까다로운 작업이다.* 샬 루 수석은 " 미 항공 우주국 (NASA) 의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찍은 데이터는 현재 ( 행성들의 중심 역할을 하는) 항 성 기준으로 20만건에 달하지만 우리는 이 중에서 겨우 670건만 탐색해 본 상태" 라며 " 앞으로 나머지 데이터에 대해 탐사를 계속하면 훨씬 더 많은 성과가 기대된다" 고 덧붙였다.원문보기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1/..
-
서울성모병원 "AI 진폐증 진단 정확도 95%"NEWS SUMMARY 2018. 1. 16. 07:03
* 서울 성모병원은 명 준 표 직업환경의 학과 교수 연구 팀이 지난 2011년 5월 ~2017 년 3월 서울 성모병원에서 진폐로 검증되거나 기존 진폐 판정자 1200명의 영상을 활용한 딥 러닝 연구결과, 95% 의 진폐증 진단 정확도를 얻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 팀은 단순 흉부 방사선 영상과 컴퓨터 단층촬영 결과 모두 진폐가 확인된 영상을 연구 군으로, 서울 성모병원 검진센터에서 검진을 수행한 60세 이상 일반 수검자들의 영상을 대조영상으로 활용했다.* 이후 획득한 영상을 합 성곱 신경망 네트워크 (CNN) 방법으로 특성을 추출했다.원문보기 :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11510334722981